티스토리 뷰
미수령 연금저축에 대한 안내 강화 및 연금 수령절차 간소화 추진
연금저축(신탁・펀드・보험) 수령
- 연금저축계좌의 연금수령 개시일을 확인해 보세요!
□ 연금저축*(신탁・펀드・보험) 수령 안내
- 가입자는 연금수령 개시일이 도래한 경우 금융회사 방문 등을 통해 연금수령 개시 신청을 하여야 연금형태 등으로 수령이 가능 함.
* 연금저축*(신탁・펀드・보험)는 소득세법 등에 의거 가입자가 세액(소득)공제를 먼저 받고 향후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세를 내는 세제적격 개인연금상품으로 가입일로부터 5년이 경과(舊 개인연금저축은 10년)하고 만 55세가 지난 이후 연금수령 가능
◦ 그러나, ‘17년말 현재 28.2만개, 4.0조원 상당의 연금저축이 미수령 상태이며,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
▶ 연금수령 개시일 도래 및 미신청계좌 현황('17년말)
구분 |
총 계좌 |
연금수령 개시 도래 계좌 |
미신청 계좌 | |||||||
계좌수 |
적립금 |
계좌수 |
(비중) |
적립금 |
(비중) |
계좌수 |
(비중) |
적립금 |
(비중) | |
은행 |
1,219 |
17.5 |
241 |
(33.4) |
2.6 |
(16.5) |
187 |
(66.4) |
0.9 |
(21.8) |
증권 |
557 |
9.3 |
59 |
(8.1) |
1.9 |
(11.9) |
36 |
(12.7) |
1.4 |
(34.2) |
생보 |
3,045 |
63.5 |
341 |
(47.2) |
9.7 |
(62.0) |
53 |
(18.7) |
1.6 |
(41.0) |
손보 |
1,907 |
31.5 |
81 |
(11.3) |
1.5 |
(9.6) |
6 |
(2.3) |
0.1 |
(3.1) |
합계 |
6,728 |
121.8 |
723 |
(100.0) |
15.6 |
(100.0) |
282 |
(100.0) |
4.0 |
(100.0) |
▶ 연금수령개시 미신청 주요 원인
① 수익률 및 세금부담 등에 따른 유불리 비교 등을 통한 본인 판단에 따라 수령시기를 연기
② 영업점 방문 및 「소득․세액공제확인서」(국세청 발급) 제출 등 번거로운 연금수령개시 절차
③ 적립금액이 120만원 미만인 舊 개인연금저축(신탁・펀드) 소액계좌의 경우에는 연금형태로수령이 불가능하며 영업점 방문을 통한 해지만 가능
□ 미수령 연금저축 확인방법 및 연금수령 개시 신청시 유의사항
- 연금수령을 위한 단계별 절차
➀ 「통합연금포털」 또는 해당 금융회사 등을 통해 미수령 연금액 확인 ➁ 유불리 여부 판단을 통한 연금수령 개시여부 결정 * 연금저축상품 수익률, 개인의 재무상황 및 연금수령 시 세금부담 등 고려 ➂ 영업점 방문 등을 통해 연금수령 개시 또는 연기를 신청
1. 미수령 연금저축 확인방법
- 연금저축 가입자는 「통합연금포털」 등을 통해 본인이 가입한 연금저축의 연금수령 개시일 및 미수령 연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음
- 미수령 연금저축 확인이 가능한 조회서비스
통합연금포털 |
http://100lifeplan.fss.or.kr |
◦ 연금저축, 퇴직연금 등 사적연금 및 공적연금 정보 일괄조회 가능(금감원 운영) | |
내보험 찾아줌 |
http://cont.insure.or.kr |
◦ 보험계약 및 보험금 현황 조회 가능(생보・손보협회 운영) | |
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|
http://www.payinfo.or.kr |
◦ 은행・보험・상호금융・대출・카드발급 정보 조회 가능(금융결제원 운영) |
2. 연금수령 개시 신청시 유의사항
◦ 가입자는 연금저축 수익률, 세금부담 및 재무상황 등에 따른 유불리를 고려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연금수령 개시시기를 판단할 필요가 있음
◦ 특히, 연금 수령시기, 수령금액 및 수령방법(일시금 또는 분할수령)에 따라 세금부담이 상이한 점에 주의해야 함
※ 연금저축 수령시점에 관한 절세 노하우 : <붙임> 참조
□ 연금수령 관련 TIP
1. 수익률 |
- 구 개인연금저축보험의 경우는 최저보증이율이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상품의 약관 등을 확인하고, 장・단점을 꼼꼼히 따져본 후 연금수령 시기를 결정하여야 함 |
2. 세금 |
- 연금저축은 중도해지하거나 일시금으로 수령시 기타소득세(16.5%)가 부과되는 등 세제측면에서 불리하므로 재정여건이 허락하는 한 연금으로 수령하는 것이 바람직 |
3. 연금저축 세율 |
- 일시금수령 및 연간 수령한도 초과금액 : 기타소득세 분리과세(16.5%) |
- 연금소득합계액이 연 1,200만원 이하 : 저율 분리과세(3.3~5.5%) | |
- 연금소득합계액이 연 1,200만원 초과 : 종합소득 합산과세(6.6~46.2%) | |
※ 세율은 지방소득세 10%를 포함한 것임 |
자료 : 금융감독원(연금저축계좌의 연금수령 개시일을 확인해 보세요)
'금융 보험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대해상화재 보험계약대출 상품 이용안내 (0) | 2018.05.27 |
---|---|
연금저축(신탁, 펀드, 보험), 퇴직연금 수령시점에 관한 절세 노하우 (0) | 2018.05.25 |
한화생명 우량기업 직장인신용대출(Hanwha-Leaders Loan) (0) | 2018.05.24 |
청년 병사의 목돈 마련을 위한 새 적금상품 출시 (0) | 2018.05.23 |
씨티은행 환전 대한항공 마일리지 적립 방법 안내 (0) | 2018.05.2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KT 통신요금 납부 이벤트
- 보험)
- 스탁론주식매입자금대출
- 롯데카드온라인쇼핑할인
- 실손형 손해보험 가입시 중복계약체결확인 의무화
- 펀드
- 스타벅스 APP 자동충전
- 삼성전자 모바일 스타트업
- 연금저축(신탁
- 우리카드 자동차 무이자할부
- 롯데카드 텔로 SKT
- 삼성 무풍에어컨 인증
- 미소금융창업운영자금대출
- 크리에이티브 스퀘어 4기
- 인디펜던스 데이 해외직구
- 롯데카드 다이렉트오토 모바일 주유권
- 삼성 무풍에어컨 후기인증 이벤트
- 국군장병내일준비적금
- ‘KB국민 오토 카드’
- 카드의정석 쇼핑
- NH농협은행비대면적립식펀드가입
- KB사회적배려자특례보증저뇨ㅔ자금대출
- 카드의정석 주유
- IBK햇살론
- 카드의정석 커피
- NH농협 직장인신용대출 샐러리맨우대대출
- KB국민 스타트럭 II GS칼텍스 카드 캐시백
- 코웨이 제휴카드
- 현대차이달의구매구입혜택
- 인디펜던스데이 직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