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2P대출 가이드라인 연장 시행, 투자한도 1천만원 추가 부여
P2P대출 가이드라인 연장 시행, 투자한도 1천만원 추가 부여
P2P대출 가이드라인 연장, 투자한도 1,000만원 추가
■ P2P대출 가이드라인의 존속기한이 도래함에 따라, 일부 내용을 보완하여 연장 시행(개정안 시행일:'18.2.27)
① 부동산PF 상품, 차입자의 대출현황 등에 대한 정보제공 강화
② 개인신용, 중소상공인 대출 등에 대한 투자한도 1천만원 추가 부여
1. P2P대출시장의 발전과 가이드라인 시행 경과
① P2P대출시장의 급속 성장세에 따라 투자자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규율로서 P2P대출 가이드라인 시행(`17.2.27일)
② 가이드라인 본격 시행(`17.5.27일, 3개월 유예기간) 이후 성장세가 다소 완화*되었으나, 매월 증가율 8~10% 수준으로 꾸준하게 성장(* 누적대출액 평균증가율 : (`17.1~5월) 15.5% → (`17.6~`18.1월) 8.7%, △6.8%p)
▶ P2P대출시장 현황
ㅇ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*은 `17.5월말 60.2%(7,780억원) → `18.1월말 63.6%(16,066억원)로 다소 상승하는 등 부동산 대출 쏠림 지속
* `17.5월말 : 부동산PF 대출 41.8%(5,399억원), 부동산 담보대출 18.4%(2,381억원)`18.1월말 : 부동산PF 대출 45.2%(11,425억원), 부동산 담보대출 18.4%(4,641억원)(출처 : 크라우드연구소 발표자료)
ㅇ 30일 이상 연체된 대출비중(대출잔액 기준)은 ’16년말 1.24% 수준이었으나 시장 확대 및 대출만기 도래로 ’18.1월말 7.96%로 상승(출처 : 한국P2P금융협회 공시자료)
▶ P2P부동산 대출 쏠림, 대출부실 현실화 등 P2P대출시장의 리스크가 존속함에 따라 가이드라인을 연장하여 지속 시행(`18.2.27일 시행)
ㅇ공시정보의 구체화, 투자한도 규제 개선 등 일부 내용을 보완
* 「온라인대출중개업법」 등 국회 입법논의를 감안하여 가이드라인 개정은 최소화
2. P2P대출 가이드라인 주요 개정 내용
(1) 정보제공 강화
(사업정보 제공)
P2P대출플랫폼의 건전성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재무현황*, 대주주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 의무화 * 정보의 객관성, 공정성 확보를 위해 외부감사법인의 외감보고서에 대해 공시 의무화
(부동산PF 공시 구체화)
부동산 건설 사업의 복잡성을 감안하여 관련 리스크 요인을 점검할 수 있도록 공시항목으로 구체화
* 차주의 자기자본투입 여부·비율, 월별 대출금 사용내역, 월별 공사진행 상황 등
(대출자의 대출현황 공시 강화)
대출자가 동일 P2P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대출을 받은 경우 그 사실과 모든 대출현황을 공시
(2) P2P투자한도 규제 개선
- 일반투자자의 경우 투자한도를 현행 1천만원에서 2천만원으로 확대
- 다만, 소상공인 대출 투자 유도와 부동산 쏠림 현상 완화를 위해 非부동산 관련 대출에 한해서만 1천만원 추가 투자 허용
자료: 금감원(P2P대출 가이드라인 연장 시행)